맨위로가기

덕산 황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덕산 황씨는 고려 시대 삼중대광도첨의정승을 지낸 황언필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상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장흥고사 황재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 본관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일대이며, 조선 시대 문과 급제자, 무과 급제자, 생원시, 진사시 합격자를 배출했다. 2000년에는 3,364명, 2015년에는 3,857명이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덕산 황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덕산 황씨
한자 표기德山黃氏
로마자 표기Deoksan Hwangssi
유형씨족
국가한국
지역예산군
시조황언필(黄彦弼)
웹사이트http://www.hwang.or.kr 황씨종친회
덕산 황씨 정보
관향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시조황언필(黃彦弼)
중시조황재(黃載)
주요 인물황린
황필
황이옥
황기로
2015년 인구3,857명

2. 역사

덕산 황씨의 시조 황언필(黃彦弼)은 고려 때 삼중대광도첨의정승(三重大匡都僉議政丞)을 지냈으며 덕풍군(德豊君)에 봉해졌다.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장흥고사(長興庫使)를 지낸 황재(黃載)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1]

황재의 아들 황길상(黃吉祥)은 고려 때 부정을 지냈고, 황재의 손자 황덕경(黃德卿)은 신호위보승 낭장을 역임하였으며, 황덕경의 아들 황욱(黃郁)은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1]

2. 1. 시조

덕산 황씨의 시조 '''황언필'''(黃彦弼)은 고려 때 삼중대광도첨의정승(三重大匡都僉議政丞)을 지냈으며 덕풍군(德豊君)에 봉해졌다.[1] 그러나 상계가 실전되어 고려 때 장흥고사(長興庫使)를 지낸 '''황재'''(黃載)를 1세조로 하여 세계를 이어왔다.[1]

2. 2. 고려 시대

황재(黃載)의 아들 황길상(黃吉祥)은 고려 때 부정을 지냈고, 황재의 손자 황덕경(黃德卿)은 신호위보승 낭장을 역임하였으며, 황덕경의 아들 황욱(黃郁)은 호조참의에 추증되었다.[1]

2. 3. 조선 시대

조선 시대에는 덕산 황씨 가문에서 여러 인물들이 문과, 무과, 생원시, 진사시 등 다양한 과거 시험에 급제하여 관직에 진출하거나 학문적 업적을 남겼다.

  • 황린(黃璘, 1454년 ~ 1491년): 7세손으로, 자는 영중(瑩仲), 호는 국정(菊亭)이다. 1477년(성종 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1486년(성종 17년) 사간원 헌납, 1491년(성종 22년) 단양 군수, 1501년(연산군 7년) 사헌부 집의, 1567년(선조 1년) 형조정랑을 역임하였다. 사간원사헌부는 조선시대 주요 언론 기관으로, 황린은 왕권 견제와 올바른 정치 구현을 위해 노력한 인물로 평가할 수 있다.

  • 황필(黃㻶, 1464년 ~ 1526년): 조선 중기의 문신이자 학자이다. 자는 헌지(獻之), 호는 상정(橡亭)이다. 아버지는 병조참판에 추증된 황구수(黃龜壽)이며, 어머니는 밀양 박씨(密陽朴氏)이다. 김종직(金宗直)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486년(성종 17년)에 생원시와 진사시에 합격하고, 1492년(성종 23년) 별시 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저작(著作)으로 기용되었다. 이후 전적, 감찰 등을 거쳐 1497년(연산군 3년) 의정부사록, 정언, 교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의 난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512년(중종 7년) 의정부사인으로 부름을 받았으나 나아가지 않고 후학 양성에 힘썼다. 1521년(중종 16년) 곤양 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나아가지 않았고, 이후 예주 현감, 동부승지에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24년(중종 19년) 경주 부윤에 임명되어 부임하였다가 임지에서 사망하였다. 사후 사림의 추천으로 경락서원(景洛書院)에 제향되었다. 저서로는 『상정일고』 3권이 있다.[5] 황필은 학문적 성취와 함께 연산군의 난정을 피해 낙향한 지조 있는 선비로 평가받는다.


조선시대 과거 급제자는 다음과 같다.

문과
황린(黃璘)황위(黃瑋)황필(黃㻶)



무과
황진원(黃振元)황치령(黃致靈)황치운(黃致雲)황후인(黃厚仁)황흥(黃興)



생원시
황순(黃錞)황신(黃莘)황와룡(黃臥龍)황위(黃瑋)



진사시
황계옥(黃季沃)황기로(黃耆老)황도홍(黃道弘)황신(黃莘)황원룡(黃元龍)황위(黃瑋)황진룡(黃震龍)황후재(黃厚載)


3. 본관

덕산(德山)은 충청남도 예산군(禮山郡) 덕산면 일대의 지명이다. 본래 덕풍(德豊)과 이산(伊山) 두 현을 합한 명칭이다.

이산현은 백제 때 마시산군(馬尸山郡)이라 불리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이산군(伊山郡)으로 바뀌어 웅주(熊州: 공주시)가 관할하였고, 금무현(今武縣)과 목우현(目牛縣)이 이산군의 영현이 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에는 홍주(洪州: 충청남도 홍성군) 관할에 있다가 후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덕풍현(德豊縣)은 백제의 금물현(今物縣)을 신라 경덕왕 때 금무현(今武縣)으로 개칭하였고, 940년(고려 태조 23)에 덕풍현으로 바꾸어 이산현과 함께 홍주의 속현이 되었다가 1175년(고려 명종 2)에 감무를 두면서 독립하였다.

1405년(조선 태종 5)에는 두 현을 병합하여 덕산현을 만들었고, 1828년(조선 순조 28)에 덕산군으로 승격하였다. 1895년(조선 고종 32) 지방제도 개정으로 홍주부에 속하였고, 1896년에 충청남도에 소속되었다. 1914년 군면 폐합으로 덕산면으로 축소, 폐지되어 지금은 예산군(禮山郡)에 속한 덕산면(德山面)으로 남아 있다.

4. 인물


  • 황린(黃璘, 1454년 ~ 1491년): 7세손. 자는 영중(瑩仲), 호는 국정(菊亭). 1477년(성종 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헌납, 단양 군수, 사헌부 집의, 형조정랑 등을 역임하였다.
  • 황필(黃㻶, 1464년 ~ 1526년): 조선 중기의 문신·학자. 자는 헌지(獻之), 호는 상정(橡亭). 김종직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다. 1486년(성종 17) 생진과에 합격, 1492년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였다. 연산군의 난정이 심해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 1524년 경주부윤에 임명되어 부임 후 임지에서 사망하였다. 저서로는 『상정일고』 3권이 있다.[5]

4. 1. 과거 급제자

구분명단
문과황린(黃璘), 황위, 황필(黃㻶)
무과황진원(黃振元), 황치령(黃致靈), 황치운(黃致雲), 황후인(黃厚仁), 황흥(黃興)
생원시황순, 황신, 황와룡, 황위
진사시황계옥, 황기로, 황도홍, 황신, 황원룡, 황위, 황진룡, 황후재


4. 1. 1. 문과

이름내용
황린(黃璘)7세손. 1477년(성종 8년) 식년 문과에 급제하여 1486년(성종 17년) 사간원 헌납(司諫院獻納), 1491년(성종 22년) 단양 군수(丹陽郡守), 1501년(연산군 7년) 사헌부 집의, 1567년(선조 1년) 형조정랑을 역임하였다.
황필(黃㻶)1492년 별시문과에 갑과로 급제하여 저작으로 기용되었다. 이어 전적·감찰 등을 거쳐, 1497년(연산군 3) 의정부사록·정언·교리 등을 지냈다. 연산군의 난정이 심하여 나라가 어지러워지자 벼슬을 버리고 낙향하였다. 1512년(중종 7) 의정부사인으로 부름을 받았으나 나가지 않고 후학의 교육에 전념하였다. 1521년 곤양현감에 임명되었으나 나가지 않았고, 뒤에 예주현감·동부승지에 다시 임명되었으나 부임하지 않았다. 1524년 경주부윤에 임명되어 부임하였다가 임지에서 죽었다.[5]


4. 1. 2. 무과

황진원(黃振元), 황치령(黃致靈), 황치운(黃致雲), 황후인(黃厚仁), 황흥(黃興)

4. 1. 3. 생원시

황순, 황신, 황와룡, 황위 등이 생원시에 합격하였다.[5]

4. 1. 4. 진사시

황계옥, 황기로, 황도홍, 황신, 황원룡, 황위, 황진룡, 황후재 등이 진사시에 합격하였다.

5. 인구

연도인구 수
2000년3,364명
2015년3,857명


참조

[1] 서적 Academy of Korean Studies 덕산황씨 德山黃氏 http://terms.naver.c[...] Academy of Korean Studies
[2] 논문 A Comparison of the Korean and Japanese Approaches to Foreign Family Names http://www.sciea.org[...] 2014
[3] 웹사이트 KOSIS https://kosis.kr/sta[...] 2022-11-28
[4] 웹사이트 황씨종친회 http://www.hwang.or.[...] 2022-09-04
[5]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LST_256_156_059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